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즐거운 세상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즐거운 세상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52) N
    • 교육과 미래 (45) N
    • 영화 리뷰 (106)
  • 방명록

전체 글 (152)
영화 플라워쇼 : 산샤나무의 상징과 의미

영화 플라워쇼는 단순한 원예 영화가 아니라, 인생의 전환점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선택한 한 여성의 감동 실화를 다룬다. 그 안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하는 식물이 바로 '산샤나무'다. 산샤나무는 영화 초반부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동시에, 주인공의 감정과 철학을 상징하는 식물로 기능했다. 특히 올해 처음 산사나무를 접한 이들에게는 더욱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장면들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영화 속 산샤나무가 지닌 의미와, 가든디자이너로서의 삶을 걸어간 주인공의 메시지를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했다.산샤나무, 주인공의 감정과 철학을 담다영화의 시작 부분은 단연 인상 깊었다. 올해 처음 산사나무를 알게 되었기 때문에 더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주인공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정원 디자인을 시작했고, 그 과정에..

영화 리뷰 2025. 3. 27. 14:12
영화 비밀의 화원: 나쁜사람 없는 영화의 매력

잔인하고 극적인 반전 없이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영화들이 있다. 그 중심에 있는 작품이 바로 ‘비밀의 화원’이다.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수차례 리메이크된 이 작품은, 보는 이로 하여금 따뜻함과 감동을 되새기게 했다. 특히 1993년작과 1949년작은 원작의 감성을 잘 살려 나쁜 인물이 등장하지 않음에도 강한 몰입감을 줬다.고전 감성의 영국, 드라마틱한 미국: 두 나라의 리메이크어릴 적 엄마가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들었던 ‘비밀의 화원’ 이야기가 생생하게 떠올랐다. 엄마는 아마 1949년 미국 MGM에서 제작한 을 가장 인상 깊게 봤다고 했다. 반면 내가 TV를 통해 접한 것은 1993년의 미국-영국 합작 영화로, 잔잔하면서도 분위기 있는 영상미가 인상적이었다.영국은 원작자의..

영화 리뷰 2025. 3. 27. 13:05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꽃이 피듯 사람도 피어나야 한다.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은 말 없는 주인공 폴과 꽃으로 가득한 정원을 통해, 우리 내면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진정한 자아를 찾게 만드는 특별한 영화다. 이 작품 속 꽃과 정원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나다움’과 ‘치유’를 상징하는 강렬한 도구다. 우리는 왜 이토록 자주 남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고 있을까. 그리고 영화는 어떻게 우리에게 자기 인생을 살라고 속삭이는 걸까?상처를 감추는 삶, 꽃을 피우지 못한 정원우리는 살아가면서 예상치 못한 곳에서 상처를 받기도 하고, 예상 가능한 일에도 다시 일어나기 힘들 만큼 무너질 때가 있다. 어린 시절에는 그런 순간마다 어른들이 다가와 등을 두드려주고, 한 입거리 간식을 건네며 마음을 달래주곤 했다. 하지만 어른이 되고 나면, 누구도 우리의 손을 잡아주지 않..

영화 리뷰 2025. 3. 27. 11:53
영화 '모리의 정원'.미장센으로 읽는 모리 (철학, 정원, 시네마)

영화 *모리의 정원*은 일본 영화 특유의 섬세한 감성과 함께, 공간과 시간이 어우러진 깊은 철학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단순히 한 화가의 삶을 그리는 데서 멈추지 않고, 화면 속에 담긴 미장센을 통해 관객에게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고요하고도 평화로운 그의 정원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정화되는 경험을 선사하며, 시네마의 본질적인 미를 느끼게 한다.미장센으로 구현된 철학*모리의 정원*에서 가장 눈에 띄는 요소는 바로 ‘정원’이라는 공간이다. 영화 속 정원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다. 그것은 화가 모리의 세계이자, 삶의 철학을 고스란히 담아낸 공간이다.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는 모습은 일본 전통의 미의식과 불교적 무소유 철학을 담고 있다. 관객들은 이 공간을 통해 ‘멈춤’과 ‘관조..

영화 리뷰 2025. 3. 27. 08:10
천국을 만들다, '블루밍 러브' 속 베르사이유 궁전 정원과 프랑스 미학의 정수

영화 블루밍 러브(A Little Chaos)는 프랑스 베르사이유 궁전의 웅장한 정원을 배경으로, 아름다움과 규율, 그리고 인간 내면의 혼란을 절묘하게 그려낸 로맨스 드라마였다. 루이 14세의 명으로 시작된 ‘천국 같은 정원’ 만들기 프로젝트 속에서, 두 정원사 드 바라와 르 노트르는 사랑과 상처, 용서와 성장의 여정을 함께했다. 이 글에서는 영화 속 정원이 지닌 예술적 의미와 상징성, 그리고 인물들의 서사를 중심으로 그 깊이를 들여다봤다.천국을 만들라는 왕의 명령과 베르사이유 정원의 역사영화는 루이 14세(앨런 릭먼)의 명령으로 시작됐다. 그는 프랑스의 권위를 상징할 ‘천국 같은 정원’을 만들기 위해 최고의 정원사들을 모았다. 역사적으로 베르사이유 정원은 실제로 절대왕정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과시하기 위..

영화 리뷰 2025. 3. 27. 06:58
영화 '해리스부인 파리에 가다' 미장센: 꽃과 파리의 시각적 은유

는 단순한 패션 영화가 아니었다. 전쟁 후 런던을 배경으로 살아가는 한 평범한 여성의 자아 찾기 여정을 담고 있지만, 그 속엔 꽃, 거리, 패션, 그리고 사람의 내면을 관통하는 미장센이 섬세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영화는 아름답고 감각적인 화면으로 관객을 사로잡았고, 장면마다 등장하는 유럽의 골목과 꽃들은 주인공의 감정선과 교차하며 이야기의 깊이를 더해줬다. 특히 파리 꽃시장 장면과 패션쇼 속 백합, 후작의 자켓에 꽂힌 장미 등은 그 자체로 상징이자 영화적 언어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미장센 요소 중 '꽃'을 중심으로 영화가 어떻게 감정과 상징을 시각적으로 풀어냈는지를 분석했다.파리의 꽃시장, 감정의 확장 공간이 되었다파리 꽃시장은 영화의 시각적 하이라이트 중 하나였다. 장미, 다알리아, 자이언트 델피..

영화 리뷰 2025. 3. 26. 21:3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6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